제3차 신규 공공택지 | 토지거래 허가지역 지정 내용 확인하기

제3차 신규 공공택지 썸네일

제3차 신규 공공택지 는 공공주도 대도시권 주택공급 획기적 확대방안의 후속조치로 시행되고 있습니다. 이런 제3차 신규 공공택지의 입지가 최종 확정 발료 되었는데요. 어디에 몇가구인지 수도권에 어디 정도 위치에 있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제3차 신규 공공택지 전체 현황 지도 확인하기

제3차 신규 공공택지는 의왕군포안산 | 화성진안 | 인천구월2 | 화성봉담3 | 남양주진건 | 양주장흥 | 구리교문 으로 총 7군데 입니다. 이런 7군데의 토지거래허가구역지정 현황부터 확인해보고 자세한 내용을 정리해보겠습니다.

제3차 신규 공공택지 전체 현황 지도는 아래 그림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토지거래 허가지역 상세 내역보기

경기도

의왕시초평동 월암동 삼동
군포시도마교동 부곡동 대야미동
안산시상록구 사사동 상록구 건건동
화성시반정동 진안동 기산동 반월동 병점동 봉담읍 내리 봉담읍 상리 봉담읍 수영리 매송면 천천리 매송면 원평리
양주시장흥면 삼하리
과천시갈현동
안양시관양동

대전

유성구지족동 죽동 노은동 장대동

세종

조치원읍봉산리 침산리 신흥리
연서면월하리
연기면연기리 보통리

제3차 신규 공공택지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내용

지정범위

경기, 대전, 세종 총 41.18㎢

  • (경기) 의왕·군포·안산 일원(13.4㎢), 화성진안 일원(4.52㎢), 화성봉담3 일원(9.25㎢), 양주장흥 일원(4.56㎢), 과천갈현 일원(0.36㎢)
  • (대전) 대전죽동2 일원(0.84㎢),
  • (세종) 세종조치원 일원(6.51㎢), 세종연기 일원(1.74㎢)
  • ※ (기준) 사업대상지 + 소재 “洞 또는 里” 지역 등 인근지역(旣 개발지역 등 제외)

지정기간

2년(’21.9.5~’23.9.4)

허가대상

거래신고법 시행령(§9)상 기준면적(녹지 100㎡ 등) 초과 토지

제3차 신규 공공택지 설치 목적

이번에 발표된 공공주택지구에 대한 수도권 전체의 주택가격 안정과 투기 수요 역제 등 다양한 분야의 부동산 시장의 안정화에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서울 경기 뿐 아니라 대전 세종 까지 신규 공공주택지구를 지정하여 전국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지방 집값 상승도 막을 수 있을 꺼 같습니다.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수도권지방광역시 우수입지에 신규 개발사업추진되어 지가 상승 기대심리에 따른 투기 수요가 유입될 가능성이 높다는 판단 하에 부동산 시장 불안 요인사전에 차단하고, 실수요자 중심의 건전한 시장 질서를 확립하기 위해 추진하게 되었습니다.

제3차 신규 공공택지 조성방안

의왕ㆍ군포ㆍ안산

□ (위치) 경기도 의왕시 초평동·월암동·삼동, 군포시 도마교동·부곡동·대야미동, 안산시 건건동·사사동 일원

□ (면적/호수) 586만㎡(약 177만평) / 4.1만호

화성 진안

□ (위치) 경기도 화성시 진안동, 반정동, 반월동, 기산동 일원

□ (면적/호수) 452만㎡(137만평) / 2.9만호

인천 구월2

□ (위치) 인천광역시 남동구 구월동, 남촌동, 수산동, 연수구 선학동, 미추홀구 관교동, 문학동 일원

□ (면적/호수) 220만㎡(67만평) / 1.8만호

화성 봉담3

□ (위치) 경기도 화성시 봉담읍 상리, 수영리 일원

□ (면적/호수) 229만㎡(69만평) / 1.7만호

남양주 진건

□ (위치) 남양주시 진건읍 진관리·배양리 일원

□ (면적/호수) 92만㎡(28만평) / 0.7만호

양주 장흥

□ (위치) 양주시 장흥면 삼하리 일원

□ (면적/호수) 96만㎡(29만평) / 0.6만호

구리 교문

□ (위치) 구리시 교문동 일원

□ (면적/호수) 10만㎡(3만평) / 0.2만호

대전 죽동2

□ (위치) 대전광역시 유성구 죽동 일원

□ (면적/호수) 84만㎡(25만평) / 0.7만호

세종 조치원

□ (위치)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신흥리, 연서면 월하리 일원

□ (면적/호수) 88만㎡(27만평) / 0.7만호

세종 연기

□ (위치)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일원

□ (면적/호수) 62만㎡(19만평) / 0.6만호

3차 신규 공공택지 추진일정

주민공람, 전략환경영향평가,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심의 등을 거쳐 ’22년 하반기 지구지정 완료 하고 ’24년 지구계획 등을 거쳐 ’26년부터 입주자 모집 개시 합니다.

인기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