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백신 교차접종 | 아스트라 화이자 교차접종 | 부작용 | 대상자 | 효과 | 임상 등

코로나 백신 교차접종에 대해 정확히 알아보겠습니다. 현재 아스트라와 화이자 백신 교차 접종이야기가 많이 나오고 있는데 교차접종 부작용은 없는지, 교차접종 대상자는 누구인지, 교차접종의 효과는 좋은지, 외국에서는 교차접종을 하고 있는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목차

코로나백신 교차접종 이란

코로나 백신을 접종하면서 1차와 2차접종을 다른 종류로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현재 우리나라는 1차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2차는 화이자 백신을 접종하는 것으로 계획하고 있습니다.

▼ 자세한 내용은 아래 홈페이지 참조 ▼

코로나 백신 교차접종 대상 약품

하반기 아스트라제네카(이하 아스트라) 백신 2차 접종 대상자 중 일부를 화이자 백신으로 2차 접을 실시하기로 했습니다.

아스트라제네카는 영국 옥스퍼드 대학과 아스라제네카 제약사에 공동개발한 백신으로  아데노바이러스 벡터(ChAdOx1)를 이용해 전달된 코로나19 유전자는 체내에서 스파이크 단백질을 발현해 면역반응을 일으킵니다.

화이자 백신은 화이자-바이온텍 코로나19 백신이라는 명칭으로 미국 화이자와 독일 바이온텍이 공동개발한 코로나19 백신입니다.

원칙적으로는 1차에서 아스트라 백신을 접종한 사람은 2차에도 아스트라 백신을 접종하게 맞지만 이번에는 교차접종을 한다는 의미입니다.

아스트라 화이자 교차접종 대상자

① 조기접종 위탁의료기관 접종자 (약 76만 명) – 7월 화이자 백신 2차접종 실시
→ 방문돌봄 종사자, 의원급 및 약국의 보건의료인, 만성신장질환자, 사회필수인력

② 보건소 등 그 외 접종기관

  • AZ백신 또는 화이자백신
    → 보건소 접종, 요양병원·요양시설 입원·입소자 및 종사자,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종사자 등

[적용대상] 7월 1일 이후 AZ백신 2차접종자
[접종간격] 1차접종 후 11~12주 간격으로 접종(현행과 같음)
[유의사항] 교차접종 대상(1차 AZ, 2차 화이자) 중 AZ백신 2차접종 희망자는 7월4주 이후 위탁의료기관에서 AZ백신으로 접종 실시

지자체별 교차접종 계획 확인

서울특별시부산광역시인천광역시대구광역시
광주광역시대전광역시울산광역시세종특별자치시
경기도강원도충청북도충청남도
전라북도전라남도경상북도경상남도
제주도

코로나 백신 교차접종 부작용, 효과 등 임상 연구

  • 국외동향
    · 유럽 : AZ백신 접종제한 후, 1차 AZ백신 접종자에 대한 교차접종 허용(4월~)
    · 캐나다 : AZ백신 1차접종 후 AZ 또는 mRNA 2차접종 가능(6.1.)
    · 영국 : AZ백신 연령제한(40세) 후 1차접종자는 동일백신 접종이 원칙이나 동일백신이 없는 경우 교차접종 허용
  • 면역원성 연구
    · 스페인 : 교차접종 연구(CombiVac S)에서 AZ-화이자 교차접종 시 체액성 면역반응 증가
    · 독일 : AZ 단일접종보다 AZ-화이자 교차접종 시 체액성·세포성 면역반응 증가 확인
  • 안전성 연구
    · 영국 : 교차접종 연구(COM-CoV)에서 피로도, 주사부위 통증, 오한, 두통들의 경미한 부작용은 증가했지만 심각한 이상반응 無
    · 스페인 : 교차접종 연구(Combivac S)에서 경미한 부작용은 관찰되었으나 심각한 이상반응 無
    · 독일 : AZ-화이자 교차접종 연구에서 교차접종군이 화이자 2회 접종군보다 전신이상반응 발생 낮음

코로나19 백신 교차 접종 연구는 스페인 이외에 영국, 이탈리아, 러시아, 중국 등에서도 임상시험으로 진행하고 있고, 결과는 곧 나올 예정이고 우리나라는 국립보건연구원에서 AZ 백신 접종자에게 화이자 등 교차 접종 임상연구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관련뉴스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Sharing is ca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