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 진안 택지지구는 동탄 신도시 서북측에 연접한 미개발 지역으로 북측은 수원영통 시가지가 위치하여 개발압력이 높고 입지가 양호한 편입니다. 화성 진안 지구로 동안인덕원선, 동탄트팸 등이 지나는 것으로 계획되어 있어 교통여건이 아주 양호합니다.
목차 [목차보기]
화성 진안 신규 공공택지
제3차 신규 공공택지는 의왕군포안산 | 화성진안 | 인천구월2 | 화성봉담3 | 남양주진건 | 양주장흥 | 구리교문 으로 총 7군데 입니다. 이 중에서 화성진안 공공택지 지구에 대해서 좀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제3차 신규 공공택지 전체 현황 지도는 아래 그림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화성 진안 토지거래 허가지역 상세 내역보기
화성시 | 반정동 진안동 기산동 반월동 병점동 봉담읍 내리 봉담읍 상리 봉담읍 수영리 매송면 천천리 매송면 원평리 |
화성 진안 개발구상
< 개발포인트 >
- 자족용지 집적화 등을 통해 수도권 서남부 거점이 되는 자족도시 조성
- 135만㎡(41만평) 규모의 공원·녹지 조성 및 복합 커뮤니티공간 조성
택지지구 특징
동탄 신도시 서북측에 연접한 미개발 지역으로 북측은 수원영통 시가지가 위치하여 개발압력이 높고 입지가 양호하고 동탄인덕원선, 동탄트램 등이 해당지역을 지나는 것으로 계획되어 있고, GTX-A(예정) 동탄역에서 환승이 가능하여 교통여건 양호합니다.
개발구상
자족기능 강화를 통해 수도권 서남부 권역의 발전을 견인하는 거점 도시로 조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ㅇ 수인분당선, 동탄인덕원선 등 교통이 편리한 곳에 자족용지를 집적화하고, 인근 산업단지와 연계한 산업 생태계 구축으로 청·중장년층의 니즈에 부합하는 주거·상업·업무·문화기능의 단지 내 혼합배치와 역세권 중심 고밀개발을 통한 직주근접 도시 조성합니다.
대중교통 인프라 확충
주변지역과 연계한 철도·도로 교통망 등 대중교통 인프라 확충, 보건·방재·치안 인프라 구축 등으로 편리하고 안전한 도시 조성
- 주변지역과 연계한 철도 중심의 대중교통, 역세권 주변 보행자 및 자전거 도로 등 스마트 모빌리티 체계 구축
- 지구 내 주거·상업·업무기능의 유연한 공간 배치, 선형 공원 조성 등을 통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응하는 도시공간 조성
공원·녹지 확보
135만㎡ 규모(전체면적의 30%)의 공원·녹지 확보와 공원 내 생활SOC 설치(문화·보육·체육 등)를 통한 복합 커뮤니티 공간 조성
- 지구 중앙을 관통하는 반정천을 중심으로 친수형 테마공원 조성
- 국공립 어린이집·유치원 설치, 주민생활공간과 밀착된 공원계획을 통한 복합커뮤니티 공간 조성 등으로 쾌적한 주거환경 조성
화성 진안 교통대책
< 교통대책 포인트 >
- 서울 도심까지 50분대 접근이 가능토록 철도 중심 대중교통 체계 구축
- 병목구간 해소 등 주변지역 교통여건 개선을 위한 도로대책 마련
신분당선 연계
신분당선 등을 연계하는 철도 교통망 구축으로 서울 도심(강남역, 서울역 등) 50분 내 도착
ㅇ 지구 내 남북간 대중교통축(경전철 등 검토)을 구축하여 신분당선, 동탄트램(GTX-A) 등으로 환승·연결
사업지구 내외 간선도로 개설(신설·확장)로 서울-수원, 화성-안산, 오산-평택 등 지역 간 광역교통 접근성 향상
지방도318호선 신설
ㅇ 지방도318호선 신설로 수원・안산* 및 화성**지역 교통량 분산 및 접근시간 단축
* 서부로(6차로)와 연계하여 국도1호선으로 집중되는 수원·오산 시가지 통과교통량 분산처리 및 서수원 접근성 향상
** 동화역말길(4차로)과 연결하여 화성, 안산도심 접근성 향상
지방도318호선 확장
ㅇ 지방도318호선 확장*을 통해 상습 병목 및 지정체 구간을 해소하여 도로통행여건 개선
* 사업시행으로 교통량 급증이 예상되는 통탄 방면 지방도 확장으로 통행소통 향상
3차 신규 공공택지 입지 선정 및 개발방향
입지 선정 방향
ㅇ 수도권은 교통여건, 기존 도심과의 접근성, 주택수요 등을 고려하여 대규모 택지 및 중소규모 택지 개발
* GB가 포함된 지구는 대부분 훼손되어 개발이 가능한 3등급지 이하 위주로 포함했으며, 부득이하게 포함된 일부 1·2등급지는 원형보존 또는 공원으로 조성 할 계획
ㅇ 지방권은 광역시권 주택시장 상황, 기존 발표 지역 및 지자체 의견을 고려하여 대전ㆍ세종 지역에 중규모 택지 개발
* GB가 포함된 지구는 대부분 3등급지 이하 또는 농지를 포함했으며, 부득이하게 포함된 일부 1·2등급지는 원형보존 또는 공원으로 조성 할 계획
신규 공공택지 개발방향
ㅇ (주거기능) 지역별로 수요자 선호에 맞게 분양주택과 공공자가ㆍ통합 공공임대주택 등을 적정 배분ㆍ공급
ㅇ (교통망 연계) 도로 신설·확장 등 교통대책을 선제적으로 마련하여 광역교통 접근성 등 개선
ㅇ (일자리 창출) 업무시설 등을 위한 도시지원시설용지를 충분히 확보하고, 지역전략산업 육성 등을 통한 자족기능 강화
ㅇ (그린뉴딜 실현) 충분한 공원·녹지 확보, 제로에너지건축, 수소 인프라 구축 등을 통하여 그린뉴딜을 실현하는 도시 조성
ㅇ (문화ㆍ생활서비스) 보육ㆍ육아 서비스, 문화ㆍ복지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생활 SOC를 촘촘히 구축하여 생활이 편리한 도시 조성
ㅇ (지자체 참여형 개발) 지자체ㆍ지방공사도 사업시행자로 적극 사업 참여하여 전문가 등과 함께 지역 맞춤형 개발 추진